분류 전체보기(61)
-
IntelliJ]unmappable character for encoding MS949 에러 해결방법 #UTF-8
안녕하세요! 오늘은 "unmappable character for encoding MS949" 에러 해결방법을 알려드릴려고 하는데요! 위의 사진과 같이 IntelliJ에서 인코딩 설정을 하지 않은 상태로 소스내부에 한글을 사용해서 발생한 에러로 설정에서 인코딩 방식을 UTF-8로 바꾸는 방법과 클린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IntelliJ 인코딩 방식 설정변경 File> Setting >Editor> File Encoding 에서 아래 밑줄된 부분을 UTF-8로 변경해줍니다. 2 . idea64.exe.vmoptions 파일수정 위의 방법으로 인코딩 방식을 변경한 후에도 콘솔창에는 MS949관련 오류가 계속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elp>Edit Custon VM Option ' 으로..
2023.06.28 -
@PathVariable 생략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안녕하세요! 오늘은 springboot를 사용해서 cilent와 server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PathVariable방식에서 @PathVariable를 생략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 한가지를 같이 살펴볼려고 합니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PathVariable 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해당 메서드 파라미터 앞에 @PathVariable를 추가해서 데이터를 받는경우 해당 파라미터에는 데이터가 꼭 들어가야 합니다. 만약 데이터가 없는 경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뜨는데요!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는 @PathVariable(required=false)를 선언하거나, @PathVariable를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PathVariable에는 기본적으로 (required=true)옵션이 있어 해당..
2023.06.27 -
API 보안관련 기사
https://www.itworld.co.kr/mainnews/295303 서드파티 API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5가지 베스트 프랙티스 API 보안에 대해 고려할 때 일반적인 기업은 내부에서 작성하는 API 보호에 초점을 둔다. 그러나 기업이 사용하는 모든 API가 내부적으로 개 www.itworld.co.kr
2023.06.26 -
6월 셋째주 공부정리
2023.06.19 ~ 2023.06.25 네트워크: 여러개의 장비나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도와주는 기술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연결 서버 : 사용자가 요청했을 때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그리들 : 빌드 자동화 시스템, 우리가 작성한 자바코드를 설정에 맞게 빌드(jar파일을 만들어줌) 빌드 : 우리가 만든 소스코드를 실행가능한 jar파일로 만드는 것 web server : http요청이 들어왔을 때 html과 같은 정적인 데이터 처리 mypage 와 같이 동적인 요청이 들어왔을 때 was에 요청을 전달 was(web application server) : (web container(servlet):동적 데이터 처리) apache tomcat : web serv..
2023.06.25 -
WEB RTC
출처] [WebRTC] WebRTC란 무엇일까? (tistory.com) [WebRTC] WebRTC란 무엇일까? 🎞 WebRTC란 무엇인가? Web Real-Time Communication의 약자로 웹/앱에서 별다른 소프트웨어 없이 카메라, 마이크 등을 사용하여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우리가 잘 알고있는 화상통 gh402.tistory.com
2023.06.23 -
MySQL 쿼리문법_1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구조적 질의 언어)의 줄임말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에서 자료를 관리 및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언어입니다. SQL의 문법의 종류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언어) 데이터를 추가/수정/삭제하기 위한 즉, 데이터 관리를 위한 언어입니다. insert update delete select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언어) 각 릴레이션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create alter drop truncate rename DCL(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 제어언어) 사용자 관리 및 사용자별로 릴레이션 또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접근하는 권한..
2023.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