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공부/IT 잡다한 지식(24)
-
클라우드
클라우드란 컴퓨팅 서비스 사업자 서버를 구름 모양으로 표시하는 관행에 따라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로 통한다.기업 내에 서버와 저장장치를 두지 않고 외부에 아웃소싱해 쓰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빅데이터를 클라우드로 관리하면 분석과 활용이 용이하다. 예상치 못한 트래픽 폭주를 염려해 과도한 설비투자를 할 필요도 없다.클라우드 서비스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장소에 따라 퍼블릭(개방형) 클라우드와 프라이빗(폐쇄형) 클라우드로 나뉜다. 클라우드 업체의 데이터센터에 보관하면 퍼블릭 클라우드, 기업 안이나 데이터센터의 독립된 서버에 보관하면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볼 수 있다.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하면 모든 인프라를 클라우드 업체를 통해 제공받는다. 자체 인프라가 빈약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대부분이 퍼블릭 클라..
2025.02.16 -
HTTP통신
@RequestBody 애너테이션의 역할은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HTTP 요청 본문(JSON 및 XML 등)을 Java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HTTP 요청 본문 데이터는 Spring에서 제공하는 HttpMessageConverter를 통해 타입에 맞는 객체로 변환됩니다. @RequestBody를 사용할 객체는 필드를 바인딩할 생성자나 setter 메서드가 필요없다. 다만 직렬화를 위해 기본 생성자와 getter나 setter 중 1가지는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ModelAttribute 애너테이션의 역할은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HTTP 파라미터들을 특정 Java Object에 바인딩(맵핑) 하는 것입니다. /modelattribute?name=req&age=1 같은 Query String 형태 ..
2025.01.05 -
Spring Boot RestControllerAdvice로 글로벌 예외 처리
기존에는 서버 하나당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터 자원이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1대1 대응은 효율적인 프로세스가 아니기 때문에 '하이퍼바이저' 시스템이 등장하게 됩니다. 하이퍼바이저의 등장으로 Host OS 위에 가상화 층이 올려지면서, 이 가상화층 위에 Guest OS들을 여러개로 분할하여 각각의 OS들에다 어플리 케이션을 운영하는 형태로 자리잡게 됩니다. 바로 위 사진과 같이 하이퍼바이저는 VMware, VirtualBox와 같은 가상화 전문 업체들이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일부 기업에서 VMware를 통해 Guest OS로 접속하여 보안 속에서 재택근무를 진행하기도 합니다.하지만 이러한 하이퍼바이저 형식은 Host OS위에 여러개의 OS를 추가 설치하게 되면서 무겁고 속도가 느려진다는 단점을 가..
2024.11.23 -
학습 블로깅 1차 - HttpServletRequest, ServletRequest
(1) 클라이언트 요청 (2)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http header 및 body 에 담겨있는 정보를 담아서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객체 생성 (3) HttpServlet 클래스의 service(ServletRequest req, ServletResponse res) 메소드 실행 (4) service(ServletRequest req, ServletResponse res) 메소드가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ServletResponse resp) 메소드 호출 (5)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ServletResponse resp) 메소드가 http 가 요청한 method 방식에 따라 적절한 메소..
2024.04.12 -
was
Web Server는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는다. Web Server는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을 WAS에 보낸다. WAS는 관련된 Servlet을 메모리에 올린다. WAS는 web.xml을 참조하여 해당 Servlet에 대한 Thread를 생성한다. (Thread Pool 이용)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하여 Servlet에 전달한다. 5-1. Thread는 Servlet의 service() 메서드를 호출한다. 5-2. service() 메서드는 요청에 맞게 doGet() 또는 doPost() 메서드를 호출한다. protecte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
2023.07.29 -
WEB RTC
출처] [WebRTC] WebRTC란 무엇일까? (tistory.com) [WebRTC] WebRTC란 무엇일까? 🎞 WebRTC란 무엇인가? Web Real-Time Communication의 약자로 웹/앱에서 별다른 소프트웨어 없이 카메라, 마이크 등을 사용하여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우리가 잘 알고있는 화상통 gh402.tistory.com
2023.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