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16. 12:51ㆍ개발공부/IT 잡다한 지식
클라우드란 컴퓨팅 서비스 사업자 서버를 구름 모양으로 표시하는 관행에 따라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로 통한다.
기업 내에 서버와 저장장치를 두지 않고 외부에 아웃소싱해 쓰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빅데이터를 클라우드로 관리하면 분석과 활용이 용이하다. 예상치 못한 트래픽 폭주를 염려해 과도한 설비투자를 할 필요도 없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장소에 따라 퍼블릭(개방형) 클라우드와 프라이빗(폐쇄형) 클라우드로 나뉜다. 클라우드 업체의 데이터센터에 보관하면 퍼블릭 클라우드, 기업 안이나 데이터센터의 독립된 서버에 보관하면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볼 수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하면 모든 인프라를 클라우드 업체를 통해 제공받는다. 자체 인프라가 빈약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대부분이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한다. 퍼블릭 클라우드의 최대 장점은 빅데이터 분석에 있다. 분석에 필요한 인프라를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클라우드 기업들은 서버와 같은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클라우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AI 개발 도구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고르면 기업이 직접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기업이 원하는 클라우드 환경을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크지 않다는 점도 이 서비스의 마케팅 포인트 중 하나다. 남들과 시스템을 나눠 쓰지 않는 만큼, 보안 유지가 쉽다는 논리다. 단점도 뚜렷하다. 자체 서버를 구축해야 해 도입 비용이 비싸다. 고성능 컴퓨팅 자원 등을 자유롭게 확장하지 못해 빅데이터 분석력이 떨어진다.
클라우드 아키텍처란?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기술 구성 요소를 결합하여 클라우드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가상화 기술을 통해 리소스를 풀링하여 네트워크 전반에 공유합니다.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프론트엔드 플랫폼(클라우드 액세스에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또는 기기)
- 백엔드 플랫폼(서버 및 스토리지)
- 클라우드 기반 제공 모델
- 네트워크
이러한 기술을 함께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를 구축하여 최종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의 성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이점은 무엇입니까?
- SaaS(Software as a Service): 벤더가 인터넷을 통해 조직에 애플리케이션과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유지 관리하므로 최종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로컬로 배포할 필요가 없습니다.SaaS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기기 및 OS에서 사용 가능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됩니다.
- Platform as a Service(PaaS): 이 클라우드 모델에서 서비스 공급업체는 컴퓨팅 플랫폼과 솔루션 스택(종종 미들웨어 포함)을 서비스로 제공합니다. 조직은 해당 플랫폼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서비스 공급업체는 애플리케이션 호스팅에 필요한 네트워크, 서버 및 스토리지를 제공하며 최종 사용자는 소프트웨어 배포 및 구성 설정을 관장합니다.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이 모델에서 가장 단순한 형태의 클라우드이며, 타사 공급업체가 조직에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므로 조직이 서버, 네트워크 또는 스토리지 기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조직은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특정 시점에 필요한 용량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합니다.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조직이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는 많습니다.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제공 가속화
- Kubernetes 와 같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최적화하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합니다.
- 최신 규정 준수 보장
- 리소스에 대한 투명성을 향상하여 비용 절감 및 데이터 침해 방지
- 리소스 프로비저닝 시간 단축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요구 사항 변화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시간 확장성 지원
- 서비스 목표를 지속적으로 충족
- 클라우드 참조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IT 지출 패턴 및 클라우드 활용도에 대한 통찰력 확보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어떻게 작동합니까?
어떤 클라우드도 서로 똑같지는 않지만, 많은 일반적인 클라우드 아키텍처 모델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 아키텍처가 포함됩니다. 비교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퍼블릭 클라우드 아키텍처: 퍼블릭 클라우드 아키텍처에서 컴퓨팅 리소스는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가 소유하고 운영합니다. 이러한 리소스는 인터넷을 통해 여러 테넌트 간에 공유 및 재배포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의 이점으로는 운영 비용 절감, 손쉬운 확장, 유지 보수 감소 등이 있습니다.
- 프라이빗 클라우드 아키텍처: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일반적으로 회사의 자체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에서 별도로 소유 및 관리하는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말합니다. 한편,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코로케이션 시설에 있는 여러 서버 위치나 임대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퍼블릭 클라우드 솔루션보다 비용이 많이 들지만 프라이빗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더 자유로운 수정이 가능하며, 엄격한 데이터 보안 및 규정 준수 옵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아키텍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은 퍼블릭 클라우드의 운영 효율성과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데이터 보안 기능을 결합합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모두 활용하여 IT 리소스를 통합하는 동시에 조직이 데이터 보안 요구 사항에 따라 환경 간에 워크로드를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멀티 클라우드 아키텍처: 멀티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여러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합니다. 멀티 클라우드 환경의 이점 중 하나는 조직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하고 배포할 수 있는 유연성이 더 높다는 점입니다. 또 다른 이점은 단일 클라우드 서비스 벤더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특정 벤더 종속 가능성을 낮추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여러 클라우드에 서비스가 존재하는 마이크로 서비스 기반의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멀티 클라우드 아키텍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기본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상화: 클라우드는 서버,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의 가상화를 기반으로 구축됩니다. 가상화된 리소스는 서버 또는 스토리지와 같은 물리적 리소스를 소프트웨어 기반이나 가상의 형태로 구현한 표현입니다. 이 추상화 계층을 통해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물리적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기업 전반에서 서버, 스토리지 및 네트워킹의 효율성이 향상됩니다.
- 인프라: 예, 실제 서버가 있습니다. 클라우드 인프라에는 서버, 영구 스토리지와 라우터 및 스위치를 포함한 네트워킹 장비를 비롯하여 기존 데이터 센터의 모든 구성 요소가 포함됩니다.
- 미들웨어: 기존 데이터 센터에서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가 서로 통신 할 수 있습니다.
- 관리: 이러한 툴을 사용하여 클라우드 환경의 성능과 용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IT 팀은 단일 콘솔에서 사용량을 추적하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데이터를 통합하고, 재해 복구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 자동화 소프트웨어: 자동화 및 사전 정의된 정책을 통해 중요한 IT 서비스를 제공하면 IT 워크로드를 크게 간소화하고 애플리케이션 제공을 효율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아키텍처에서 자동화를 사용하면 시스템 리소스를 손쉽게 확장하여 컴퓨팅 성능에 대한 급증하는 수요에 대처하고, 변동하는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거나, 클라우드 환경 전반에 걸친 거버넌스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참조] [네이버 지식백과] 클라우드 [cloud] (한경 경제용어사전)
'개발공부 > IT 잡다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통신 (1) | 2025.01.05 |
---|---|
Spring Boot RestControllerAdvice로 글로벌 예외 처리 (1) | 2024.11.23 |
학습 블로깅 1차 - HttpServletRequest, ServletRequest (0) | 2024.04.12 |
was (0) | 2023.07.29 |
WEB RTC (0) | 2023.06.23 |